사이트정보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통합검색 검색 폼

게시물 (9건)

고운 선생 문집 중간 서문〔孤雲先生文集重刊序〕[노상직(盧相稷)]
세상에서 신라(新羅)를 논할 때면 산에 대해서는 반드시 두류(頭流)와 가야(伽倻)와 청량(淸涼)을 말하고, 물에 대해서는 반드시 동명(東溟)과 동락(東洛)을 말하고, 사람에 대해서는 반드시 문창(文昌) 최 선생(崔先生)을 말한다.대개 나라가 나라답게 되기 위해서는 명산(名山)과 명천(名川)과 명인(名人)이 있어야 한다.
戲送一菴遊湖南訪光州牧使 : 서거정
戲送一菴遊湖南訪光州牧使  - 사가시집 제14권 / 시류(詩類) : 서거정(徐居正, 1420~1488)일암(一菴)이 호남(湖南)을 유람하고 광주 목사(光州牧使)를 방문(訪問)하기로 한 데 대하여 장난삼아 읊어서 보내다.        들으니 호남을 스스로 가련히 여긴다는데 / 聞說湖南也自憐
광산의 토지 가운데 둔전과 사기소의 처리에 관해 논의하다 - 성종 19년
광산의 토지 가운데 둔전과 사기소의 처리에 관해 논의하다 - 성종 19년 무신(1488) 7월 12일(계유)        광산 경재소(光山京在所)의 당상(堂上) 서거정(徐居正)ㆍ임원준(任元濬)ㆍ김겸광(金謙光)ㆍ신준(申浚)ㆍ성준(成俊)ㆍ김백겸(金伯謙)ㆍ김여석(金礪石)이 서계(書啓)하기를,“지
영남과 호남의 인물들, 도협총설 104조항 〔陶峽叢說 一百四則〕 -도곡집
도협총설 104조항 〔陶峽叢說 一百四則〕 -도곡집 제28권 / 잡저(雜著) : 이의현(李宜顯, 1669~1745)102. 조선조에서는 양남(兩南) 지방의 인물이 가장 현달하였으니, 경주(慶州)에는 회재(晦齋) 이언적(李彦迪)이고, 안동(安東)에는 충정공(忠定公) 권벌(權橃)과 서애(西厓) 유성룡(柳成龍)과 백담(栢潭) 구봉령(具鳳齡)과
동경(同庚)인 광주(光州) 이낙안(李樂安) (조원調元) 에게 부치다- 사가시집 제22권
동경(同庚)인 광주(光州) 이낙안(李樂安) (조원調元) 에게 부치다- 사가시집 제22권 이웃에서 종유한 지 지금 그 얼만가 / 隣遊今幾日멀리 이별한 지도 역시 오래이구려 / 遠別亦多時길이 멀어 꿈만 자주 꾸게 되더니 / 道阻煩長夢서신 받으니 그리움에 위로가 되네 / 書來慰所思호남 땅은 한가하여 적막할 텐데 / 湖南閑寂
쌍계정 雙溪亭 쌍계당
담양군 대전면 대치리   《광주읍지》(1879, 1924)에는 쌍계정은 주의 북쪽 40리에 있다. 부제학 효우당 이종검(? ~ ?)이 지었다. 본래는 용인에 있었는데 시간이 지나 헐어지자 후손이 광주로 옮겨 1821년에 다시 건립하고 이름은 그대로 사용하였다. 이종검의 호는 쌍계이다. 1429년 종제인 이보흠과 함께 문과 급
경렴정 景濂亭
문헌상 가장 이른 광주권 누정은 14세기 후반의 경렴정이다. 주인은 경렴 탁광무(1330∼1410)로 익재 이제현에게 배우고 이색, 정몽주, 문익점, 이숭인 등과 교류했다. 탁광무는 고려 공민왕 때 우사의右司儀로서 신돈에 아부하여 행패를 부리는 홍영통洪永通을 탄핵했다가 파직되었던 강직한 인물이었다. 이처럼 신돈 일파의
눌재 박상朴祥(1474~1530)
박상朴祥(1474~1530)은 진사 박지흥의 차남이며 훈구파와 사림파가 대립하던 조선 중종 때의 관료로 사림 운동에 전력한 학자이자 정치가였으며 호남 사림의 대부이다. 본관이 충주이며 자는 창세昌世, 호는 눌재訥齋이다. 눌재는 1474(성종5년)년에 광주 방하동 본가에서 성균관 진사였던 부친 지흥과 모친 계성서씨 사이에
경렴정
문헌상 가장 이른 광주권 누정은 고려 말기인 14세기 후반의 경렴정景濂亭이다. 주인은 경렴 탁광무卓光茂(1330∼1410)로 익재益齋 이제현李齊賢(1287~1367)에게 배우고 이색, 정몽주, 문익점, 이숭인 등과 교류했다. 탁광무는 고려 공민왕 때 우사의右司儀로서 신돈에 아부하여 행패를 부리는 홍영통洪永通을 탄핵했다가 파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